Table of contents
고대운동 Ancient Tr.
고대운동 기원

고대운동은 말 그대로 그 역사가 기원 전 고대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운동들을 말하며, 인간이 생존을 위해 했던 수렵, 채집, 전투 활동과 같은 원형적 움직임과 도구들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 중에서도 ‘방망이 휘두르기’는 인류의 직립보행과 궤를 같이 할정도로 인류학적으로 대단한 가치를 지닌 원형적 움직임입니다. 그래서 인류의 시작과 함께했다고 보여지는 고대운동의 기원을 꼭 집어 어디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인종, 민족, 문화라는 경계를 넘어 세계 어딜 가더라도 방망이 형태의 무기를 휘두르고 훈련했다는 역사적 기록이 발견되고 유물이 발견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는 이란, 인도만이 그 문화를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란, 인도에서 행해지는 고대운동 문화는 고대 페르시아를 기원으로 합니다. 서로 다른 언어와 민족성을 지닌 현재에도 고대운동 관련 문화와 언어(고대 파르티아어) 만큼은 대다수 일치합니다. 이를 통해 이란과 인도로 각각 정착하기 시작한 BC2000년 전에도 이미 고대운동 문화를 향유하고 있었으리라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고대운동을 의미하는 ‘바르제쉬에 바스타니varzeš-e bāstnī ورزش باستانی’는 고대 파르티아어입니다.
고대운동 문화

이란의 주르카네 زورخانه , 인도의 아카라 अखाड़ा 에 남아있는 고대운동 문화는 페르시아와 인도 각자의 고대 서사 문학 기반의 신화적 구성을 바탕으로 합니다. 구성원들은 주로 방망이, 철퇴와 같은 신화 속 전투 장면에서 등장하는 도구들을 그대로 활용해 휘두르기 움직임을 반복합니다.
주르카네 Zurkhaneh

주르카네는 ‘힘의집’ 이라는 뜻으로 고대 페르시아 전사들이 힘을 기르며 전투를 준비하는 목적 외에도 친절과 겸손을 교육하는 공간이었습니다. 대를 이어 교육을 받아온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주르카네에 들어서면 이전 세대들의 사진과 초상화 액자가 높은 천장까지 빼곡하게 채우고 있습니다.
주르카네 구성원들은 모쉐드Moshed가 연주하는 타악기 리듬에 맞춰 다같이 원형을 이루어 방망이를 휘두릅니다. 이때 모쉐드는 샤나메 서사시 중 영웅 루스탐의 과업을 노래하고 구성원들은 방망이를 휘두르며 따라 부르기도 합니다. 실제로 고대운동을 보면 주르카네 중앙에서 예술 공연이 두 시간 동안 라이브로 진행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지역 주민들은 고대운동을 구경하며 가장자리에 있는 계단 구조 위로 자유롭게 둘러앉아 차를 마시고 담소를 나누며 소통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는 외세의 침략이 있던 당시 주르카네가 민족 저항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역사적, 건축학적, 예술적, 운동학적 가치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주르카네 문화는 세계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아카라 Akhara

아카라는 ‘학술원’을 뜻하며 ‘Academy’의 어원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북인도 바라나시에 있는 아카라는 주로 원숭이 신 하누만 사원안에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습니다. 그래서 아카라에는 원숭이가 살 수 있는 큰 나무가 있고 정말로 원숭이가 무리지어 살고 있습니다. 아카라에서 구성원들은 구루의 가르침 아래 레슬러로서 엄격하고 절제된 금욕주의적 생활을 하며 체력단련의 수단으로 하누만의 무기 가다Gada를 휘두르는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하누만처럼 자신안에 있는 다르마Dharma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1년에 한번씩 코브라 페스티벌이 있을때마다 가다와 조리를 새롭게 칠하고 외부인들에게 아카라를 공개하고 시연을 보이거나 여러 아카라가 연합해 대회를 개최하는 문화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주르카네 스포츠
대회 성격

자국내 선발전을 통해 대표자격을 획득한 주르카네스포츠 선수들은 매년 대륙별 대회 및 월드챔피언쉽과 같은 국가대항전에 출전합니다. 현재 모든 주르카네스포츠 대회는 세계주르카네스포츠협회 IZSF 주관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대회는 단체전, 개인전으로 구성되며 단체전에 출전한 5명의 선수만 개인전에 출전할 수 있습니다. 개인전은 각 종목 당 반복 횟수 혹은 지속 시간으로 개인 기록에 포인트를 적용해 경쟁하는 방식입니다.
대회 종목
아카라 컴피티션
경기 성격
경기 종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