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든크라이스 백서
모세 펠든크라이스
모세 펠든크라이스(1904년 5월 6일 – 1984년 7월 1일)는 러시아 태생의 이스라엘인으로 파리 소르본느 대학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엔지니어링 학위 역시 갖춘 과학자였다. 흥미롭게도 당시 소르본느 대학 교수 중 한 사람이 퀴리 부인(Marie Curie)이였고, 펠든크라이스는 그녀의 제자인 프레데릭 졸리오 퀴리의 라듐 연수소에서 보조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는 프랑스 유도 클럽을 창시하고 예술과 관련하여 여러권의 책을 저술하는 등 예체능에도 관심이 많았다. 1940년 과거 무릎 손상이 재발하고, 이를 스스로 치유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을 통한 자각’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를 발견한다. 1947년 ‘인체와 성숙한 행동:불안, 성, 중력 그리고 학습 연구 ’Body and Mature Behavior; A study of Anxiety, Sex, Gravitation and Learning’ 라는 책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펠든크라이스, F.M 알렉산더와 함께 소마틱스 분야를 대표하는 토마스 한나가 펠든크라이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나이 육십세가 되던 해에 미국으로 건너가 인류학자인 마가렛 미드, 스탠포드 대학 신경심리학 연구소 소장인 칼 프리브람 교수 등 당시 열린 생각을 지닌 학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그 천재성을 인정받았으며, 1960년부터 1980년 대에 걸쳐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움직임을 통한 자각(Awareness Through Movement)을 교육하였다.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첫 번째 그룹 교육을 진행하였다. 1975년부터 1978년까는 65명의 학생을 교육했으며, 1980년에 235명의 학생들을 교육하다가 1981년 가을에 병에 걸린 후 2회 수업을 끝으로 공개적으로 가르치는 일을 중단했다. 그 이후 펠든크라이스 박사에 의해 선정된 아홉명의 학생이 공식적인 펠든크라이스 트레이너로 활동하게 됨으로써 펠든크라이스 메소드가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펠든크라이스 메소드 Feldenkrais Method ® 에 대해 국제적 사용을 공인하는 교육 단체는 펠든크라이스 길드(Feldenkrais Guild)로,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기, 2기 과정이 함께 진행 중이다. 펠든크라이스는 학계 및 일선 전문가들 사이에서 펠덴크라이스 또는 휄든크라이스로도 번역되고 있으며, 펠든크라이스를 대표하는 저서인 ATM의 한국어판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에 따라 펠덴크라이스라 지칭한다.
펠든크라이스는 몸과 움직임에 대한 자기 통찰을 기반으로, 과학자답게 움직임에 대해 물리역학적인 분석이 가능했고 뇌과학적으로 몸과 움직임의 상관 관계를 추론할 수 있었다. ‘움직임을 통한 자각’(이하 ATM)이라 불리는 그를 대표하는 작업은 물리역학, 운동학, 신경생리학 원리에 기반하여 인체가 좀더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도록 돕는다. 이 과정은 자기 움직임을 형성해오던 기존의 습관적인 신경 패턴을 자각하고, 새로운 신경 패턴을 학습하게 한다. 이는 생명이라는 큰 틀에서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학습 방식으로 그 대상은 움직임, 감각, 감정, 생각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이 방식은 신체 기능의 향상 뿐 아니라, 사회 구조 및 개인적 습관, 성향, 트라우마 등으로 고정된 자기 자신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궁극적으로 나라는 존재가 가진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각종 통증과 부상을 비롯한 현대인의 삶을 갉아먹는 각종 신체적 증후군을 해결할 수 있고, 삶의 여러 각도에서 총체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펠든크라이스는 무도가로서 그의 생애 동안 유도를 깊이 수련하였다. 유럽에서 최초의 유도 유단자 및 유술 클럽 창시자로 활동했다는 사실로 보아 움직임에 대한 그의 관심이 단순히 육체적 기능 향상만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실제로 주변 사람들로부터 못말리는 매니아 또는 괴짜 과학자로 여겨졌던 것 같다. 그의 어머니가 그를 보며 노벨상을 탈줄 알았더니 몸을 다루게 될줄은 몰랐다는 농담섞인 한탄을 했다는 일화부터, 펠든크라이스 할아버지가 매일같이 마당에서 뒹굴고 있었다는 소녀 시절의 목격담이 전해진다. 현재 펠든크라이스 메소드는 효율적 몸 사용을 돕는 과학적 또는 기술적 접근법, 사회 심리학적 통찰을 담은 대안 교육법,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자기 계발법 등으로 활용된다. 이처럼 넓은 범주에서 활용되는 것만 보아도, 특정 영역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펠든크라이스 메소드는 그의 삶 속에서 한 축을 구성하는 동양적 움직임 수련 경험과 또 다른 한 축을 구성하는 과학적 지식과 더불어 삶과 사람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통찰까지 곁들어지며 탄생한 유산이기 때문이다. 테크닉이 아닌 메소드라 불리는 이유다. 따라서 메소드를 배울 수는 있지만 그와 똑같이 할 수는 없으며, 펠든크라이스 본인도 이를 원하지 않았다. 펠든크라이스는 가르친다는 표현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자기 자신을 알아가는 것에 대해 학생과 함께 추구한 사람이었다.
펠든크라이스 메소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한 것처럼 단순히 지식에 그치는 것이 아닌 삶으로 통합되는 과정 즉 유기적이고 경험적인 학습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책을 통해서 완전한 이해를 하기는 어렵다. 특히 신체 접촉을 통해 진행되는 기능 통합 FI 레슨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